반응형
폴란드의 바르샤바에서 출생한 마리아 스크토도브스카(Maria Sktodowska)는 당시 폴란드와 독일에서는 여자가 대학에 들어갈 수 없었기 때문에 파리로 유학을 결심하고 1891년 파리의 소르본 대학에 입학하여 수학,물리학을 전공하였다.
1895년 피에르 퀴리와 결혼 후 프랑스 국적을 취득했고 남편과 공동으로 연구 생활을 시작하였으며, 그 당시 물리학에서는 뢴트겐의 X선 발견, 베크렐의 우라늄에서의 방사능 발견에 자극받아 퀴리 부부도 방사능 연구에 착수 하였다.
토륨도 우라늄과 마찬가지의 방사선을 방출한다는 것을 발견하고, 그것을 방사능이라 불렀다.
방사화학분석을 통해 1898년 7월 그녀의 조국인 폴란드의 이름에서 유래해 붙인
폴로늄을 발견하였고 이어 그 해 12월 라듐을 발견하였다.
이 두 원소는 방사성 물질로서 발견된 최초의 것으로, 특히 라듐은 우라늄에 비하여 훨씬 강한 방사능을 가진다는 점에서 중요했다. 이러한 업족으로 1903년 퀴리 부부는 베크렐과 함께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다.
방사선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 중에서 표준상태의 건조한 공기에서 생성된 전리된 양을
조사선량 이라고 하는데 조사선량의 단위를 뢴트겐(R) 이라고 한다.
또한 방사성물질이 방사선을 방출하는 능력이라는 의미로 사용되는 방사능의 단위에는 퀴리(Ci)와 베크렐(Bq)이 있다. 1(Ci)란 라듐 1g의 방사능 양을 말하며, 1(Bq)이란 원자학 붕괴시 단위시간 1초당 원자핵 붕괴수 또는 변환수를 말한다.
반응형
'방사선과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산화단층촬영 CT(1) (0) | 2020.12.10 |
---|---|
진단방사선 (0) | 2020.12.10 |
방사선 (0) | 2020.12.09 |
음극선이 전자의 흐름이라는 것을 밝혀낸 톰슨 (0) | 2020.12.08 |
X선을 최초로 발견한 뢴트겐 (0) | 2020.1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