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R angiography>
인체에 흐르는 혈류의 양성자는 주변조직의 정지된 양성자와는 다른 신호를 나타내며 검사방법에 따라
주변조직보다 신호가 증가하여 밝게 나타나거나 신호가 감소하여 주변조직보다 어두게 나타나기도 한다.
조영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혈관이 밝게 나타난다. 움직이는 혈류의 신호가 움직임이 없는 주변조직보다
강하게 나타나는 유속신호증강효과를 이용한 혈관영상법인 TOF(Time Of Flight)기법과
스핀이 경사자장에 의해 생기는 위상이동(Phase shift) 현상을 이용한 PC(Phase Contrast)기법이 있다.
최근에는 조영제를 정맥주입하여 매우 짧은 검사시간을 사용하여 T1강조영상을 획득하는
조영증강 자기공명 혈관조영술(Contrast Enhanced MR Angiography)이 매우 활발하게 이용된다.
<자기공명분광법(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 ; MRS)>
어떠한 검사대상이 자기장에 놓여져 있을 때 가해진 RF Pulse에 대한 자기공명신호(주파수)의 변화를
정밀하게 관측하고 스펙트럼을 분셕하여 그 대상의 구조, 성분, 상태, 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이다.
세포 내에 분자단위의 신진대사에 관여 물질들 분석하고, 신체 생리적 변화를 생화학적 변화와 연관 시켜 연구하고
있으며, 세포기능의 병리학적으로 구조적인 변화 즉, 병변의 해부학적 변화 이전에 조기에 발견 예방하는데 이용된다.
<관류강조영상(Perfusion Weighted Image)>
관류는 모세혈관 내 혈류의 미소순환에 의해 발생하는데, 여기에 조영제를 주입한 후
동태적검사(dynamic scan)를 시행하면 조영제가 들어있는 혈관 부위는 자화율 차이를 유도하고
여기에 따라 T2가 짧아지면 신호강도가 국소 불균일자기장이 생겨 심한 저신호강도를 나타낸다.
이를 이용하여 국소혈류량을 영상으로 나타내는 영상이다.
국소뇌혈류와 순환시간 측정 등의 기능적 정보를 얻으며 핵의학적 검사영상과 같은 관류강조 영상 얻을 수 있다.
<확산 강조 영상 (Diffusion Weighted Image)>
확산현상이란 분자농도가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물질분자가 이동되어 가는 것을 말한다.
확산영상은 조직의 생체 내 확산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영상진단방법으로 움직임에
예민한 움직임에 의한 영상(motion artifact)을 초래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급성뇌경색이 왔을때 세포 밖의 물분자가 움직이는(이동하는) 운동을 보기 위해 검사시간이 짧아야 한다.
정상적인 부위(확산이 잘되는 부위)는 저신호(검게)를 나타내며, 비정상적인 부위(확산이 안되는 경색 부위)는 고신호(밝게)로 나타난다. 즉 비정상부위에서는 조직의 활동을 하지 못하므로 확산이 일어나지 않아 신호가 강하게 나타난다.
<기능영상(Functional MR ; fMR)>
뇌의 활성화를 시각적인 시호로 나타내는 방법으로 각각의 대뇌피질의
고유한 기능 변화를 산소농도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현한다.
뇌의 활성에 따른 국소적 혈류증가에 관련되는 휴지기와 활성기 때의
일어나는 해당 기능을 담당하는 뇌의 위치를 찾는 방법이다.
뇌수술시 뇌기능의 위치를 시전에 파악할 수 있어 절제부위 결정하는데 이용되고 있으며,
향후에는 인간의 본성과 의식에 이르기까지 그 활용범위는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방사선과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사선 치료방법의 분류 (0) | 2020.12.15 |
---|---|
방사선치료 (0) | 2020.12.15 |
자기공명영상(MRI) (0) | 2020.12.14 |
자기공명영상학 (0) | 2020.12.12 |
전산화단층촬영(CT)2 (0) | 2020.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