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선과학개론

방사선치료

소.확.행 2020. 12. 15. 20:50
반응형

방사선 치료의 원리와 목적

1. 방사선 치료의 원리

전리방사선을 인체에 조사하면 인체를 구성하는 분자 또는 원자의 여기, 전리를 일으켜 물리, 화학, 생물학적 작용에

의해 화합물의 조성에 변화가 생겨 세포의 기능장해, 증식저지, 사멸 등이 일어나며 나아가 조직이 파괴된다.

 

2. 방사선 치료의 목적

암조직과 정상조직과의 방사선 효과비를 최대한으로 함으로써

암을 사멸시켜 환자의 생명을 연장하고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이다.

즉 정상조직의 선량을 최소화하여 방사선에 의한 부작용을 줄이고

종양조직에 방사선이 집중되도록 하여 종양을 제거하는 것이 목적이다.

3. 직접작용과 간접작용

방사선의 생물학적 작용은 방사선이 인체에 조사되어 반응하는 물리적 및 화학적 작용에

의해 일어나기 때문에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분자 수준에서 이해 할 필요가 있다. 

방사선이 생체에 흡수되었을 때 그 에너지가 세포내의 분자와 원자를 전리, 여기시키게 되는데

그것이 표적 그 자체에 방사선이 작용하여 변화가 일어나는 경우를 직접작용(direct action), 방사선 자체가 아니라

방사선에 의해 활성화된 물질에 의해 변화가 일어나는 경우를 간접작용(indirect action)이라고 한다.

간접작용은 방사선 화학에 의한 것으로 이온, 유리기, 여기분자 등의 불안정 물질이 발생하여 표적을 공격한다.

저 LET 방사선에서는 생물학적 작용의 70%는 간접작용에 의하고

고 LET 방사선에서는 대부분 직접작요에 의하여 생물학적 작용이 일어난다.

방사선치료의 역사

1895년 뢴트겐이 X선을 발견한 이후 1896년 최초로 A.Voight에 의해

비인두암 환자에게 X선을 조사하여 통증을 완화시켰다는 보고가 있었으며,

그 후 1896년 G.T.Lyon에 의해서 결핵의 방사선 치료가 보고되었다.

1898년 마리 큐리에 의해 폴로늄과 라듐이 발견되었으며,

라듐을 운반하던 과정에서 라듐이 인체의 피부에 반응을 일으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1902년 Frieben에 의해 방사선의 발암작용이 인식되어졌으며,

1905년 Bergonie-Tribon-Deau에 의해서 방사선을 설치류 동물에 실험하여

전리방사선이 인체의 세포에 미치는 감수성을 나타내는 결과를 발표하였다.

1905년 R.Abbe에 의해 라듐의 조직내 조사가 행하여지는 기초를 마련하였으며,

1908년에는 Dessauer에 의해 심재영 암치료를 위해 고관전압을 사용하여

여러방향에서 조사를 행하였다는 보고를 하였다.

1913년 X선 심부치료를 시도하였으며, 1939년 라돈을 이용하여 자궁경부암의 강내조사를 시도하였고

1956년 고에너지 선형가속기가 개발되어 치료에 이용하였다.

1980년대 부터 전산화단층촬영장치, 초음파장치, 자기공명장치의 이용이

보편화 되면서 암 병소의 크기, 위치 등 파악이 정확하게 되었다.

최근에는 양선자를 방출하는 방사성의약품을 이용하여 체내의 미세한 변화를 영상화하는

최첨단 검사 방법인 Fusion CT, 일명 PET-CT가 임상에 활용되면서

영상의 질 진단율이 향상되었고 검사시간이 단축되었다.

현재 방사선 치료는 정상조직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종양에 선량을

집중 조사하고자 Tomotherapy, 호흡연동방사선치료, 영상유도방사선치료 등이 활발히 시행되고 있다.

반응형

'방사선과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수방사선치료  (0) 2020.12.16
방사선 치료방법의 분류  (0) 2020.12.15
MRI 특수기법  (0) 2020.12.14
자기공명영상(MRI)  (0) 2020.12.14
자기공명영상학  (0) 2020.12.12